본문 바로가기
데이터 분석 도전기

파이썬 입문 시리즈 5편: 리스트와 튜플 이해하기

by 프로 탈출러 2023. 6. 18.
반응형
파이썬 입문 시리즈 5편: 리스트와 튜플 이해하기

파이썬 입문 시리즈 5편: 리스트와 튜플 이해하기

1. 리스트와 튜플의 기본 개념

리스트와 튜플은 파이썬에서 제공하는 자료구조 중 가장 기본적인 형태입니다. 둘 다 여러 개의 요소를 한 번에 저장할 수 있으며, 각 요소는 고유한 인덱스를 통해 접근할 수 있습니다.


  # 리스트 예제
  my_list = [1, 2, 3, 4, 5]
  print(my_list)

  # 튜플 예제
  my_tuple = (1, 2, 3, 4, 5)
  print(my_tuple)
  

이 코드를 실행하면 다음과 같은 출력 결과를 볼 수 있습니다.


  # 출력 결과
  [1, 2, 3, 4, 5]
  (1, 2, 3, 4, 5)
  

2. 리스트와 튜플의 연산

리스트와 튜플에는 여러 가지 연산이 가능합니다. 예를 들어, 두 리스트나 튜플을 연결하거나, 리스트나 튜플의 일부를 잘라내는 등의 연산이 가능합니다.


  # 리스트 연산 예제
  list1 = [1, 2, 3]
  list2 = [4, 5, 6]
  print(list1 + list2)  # 리스트 연결

  # 튜플 연산 예제
  tuple1 = (1, 2, 3)
  tuple2 = (4, 5, 6)
  print(tuple1 + tuple2)  # 튜플 연결
  

이 코드를 실행하면 다음과 같은 출력 결과를 볼 수 있습니다.


  # 출력 결과
  [1, 2, 3, 4, 5, 6]
  (1, 2, 3, 4, 5, 6)
  

3. 리스트 메서드

리스트는 요소를 추가, 제거, 찾는 등의 여러 가지 메서드를 제공합니다. 이를 통해 리스트를 다루는 데 큰 편리함을 제공합니다.


  # 리스트 메서드 예제
  my_list = [1, 2, 3]
  my_list.append(4)  # 리스트에 요소 추가
  print(my_list)

  my_list.remove(1)  # 리스트에서 요소 제거
  print(my_list)

  index = my_list.index(2)  # 리스트에서 요소 찾기
  print(index)
  

이 코드를 실행하면 다음과 같은 출력 결과를 볼 수 있습니다.


  # 출력 결과
  [1, 2, 3, 4]
  [2, 3, 4]
  0
  

다음 시간에는 파이썬의 또 다른 중요한 자료구조인 딕셔너리와 집합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. 계속 따라와 주세요!

반응형
LIST